<¾î¸°ÀÌ Àå³­°¨: ºÐÈ«»ö°ú ÆĶõ»ö À̹ÌÁöÈ­¿¡ ´ëÇÑ ¹Ý¹ß>

여자아이는 꼭 분홍색, 남자아이는 꼭 파란색을 선호할까요? 혹시 장난감 회사나 아동복 회사의 마케팅에 의해 생긴 선입견이 아닐까요? 영국에서는 분홍색과 파란색 편견 부수기 위한 운동이 있다고 하는데요, 자세한 이야기를 함께 알아봅시다.

Children's toys: The backlash against pink and blue branding

Growing up in the 1970s, mum Tessa Trabue never thought too hard about the significance/consequence of just two colours, pink and blue.

But when her son was born in 2006, she started to notice the way society likes to colour-code the sexes.

At a magazine stand one day, her son pointed out a children's magazine he wanted to buy.

"But his hand snapped back and he said 'look mummy I can't have it, that sign says just for girls'," Trabue told the BBC.

"I was just flabbergasted."

The incident was one of several that opened her eyes to the way children's clothing and toy manufacturers aggressively market by genre/gender.

Now a member of the Let Toys Be Toys campaign in the UK launched in 2012, Trabue tries to put pressure on children's brands to expand their marketing to include both genders so that no little boy or girl thinks they are playing with "the wrong toy".

정답

significance
gender

해설
significance
중요성
consequence 결과
genre 장르
gender 성별

어휘
colour-code
색칠하여 구분하다
snap back (용수철 따위가) 튀어 돌아오다
flabbergasted 크게 놀란
aggressively 적극적으로, 공격적으로
launched in ~ ~에 개시한, 창단된
expand 확대하다

해석
어린이 장난감: 분홍색과 파란색 이미지화에 대한 반발

1970
년대에 자라면서, 엄마인 테사 트라뷰는 분홍색과 파란색 두 색깔의 중요성에 대해서 결코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2006년에 아들이 태어났을 때, 그녀는 사회가 성별을 색별하기 좋아한다는 것을 눈치채기 시작했습니다.

하루는 잡지 가판대에서, 아들이 사고 싶은 어린이 잡지 한 권을 가리켰습니다.

“하지만 아이는 재빨리 손을 거두고는 이렇게 말하더라고요. ‘엄마, 봐봐, 나는 이거 못 사. 여자아이들을 위한 거라고 써있어.’”라고 트라뷰가 BBC에 말했습니다.

“저는 그냥 크게 놀랐죠.”

이 일은 어린이 의류 회사와 장난감 회사가 성별을 나누어 적극적으로 마케팅하는 방식에 대하여 트라뷰의 눈을 뜨게 해 준 여러 사건 중 하나였습니다.

2012년에 영국에서 발족한 ‘렛 토이즈 비 토이즈(let toys be toys)’ 캠페인의 일원인 트라뷰는 두 성별을 포괄하여 남아나 여아가 “잘못된 장난감”을 가지고 논다고 생각하지 않게끔 마케팅을 확장하도록 어린이 브랜드들을 압력을 가하는 데 노력하고 있습니다.

https://www.bbc.com/news/world-us-canada-46613032